개발 공부는 어려워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3. 11. 21. 15:34
Thymeleaf 설정 study/spring
반응형

1. 타임리프란? 

WikiPedia

 

위에서 말했듯 결국 MVC패턴에서 View에 해당하는 화면을 만들때 사용하는 템플릿 엔진이다.

 

2. 타임리프 의존성 주입

타임리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존성을 주입해야 하는데,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thymeleaf/thymeleaf

위 링크를 들어가 사용할 버전을 클릭후에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설정에 따라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Spring Initializr(https://start.spring.io/ ) 사이트를 이용한다면,

ADD DEPENDENCIES...를 클릭하여 사용할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

 

혹은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시 추가하면 된다.

 

3. 설정

3.1. 경로설정

Thymeleaf를 사용할 기본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데 아래 경로에 있는 resources 폴더 밑에 생성한다.

 

 

 

 

 

 

 

 

3.2. application.yml 설정

<java />
spring thymeleaf: cache: false // 타임리프 수정시 서버 재시작없이 새로고침으로 반영하기 enabled: true // true -> 타임리프 사용 | false -> 타임리프 사용 X prefix: classpath:/templates/ // 타임리프 경로 설정 suffix: .html // 타임리프 사용할 파일 확장자

 

만약 jsp파일을사용한다면 suffux에 .jsp를 .html 대신 작성한다.

 

4. 사용예시

4.1. 컨트롤러

타임리프는 단순 url 호출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용 컨트롤러를 생성해보자.

<java />
@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index(){ return "hello"; } }

 

@Controller를 사용해서 view를 반환하는  테스트용 컨트롤러 파일을 만들어주고

@GetMapping을 사용해서 localhost:8080/hello라는 url를  만들어준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return 타입인데,

아까 application.yml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html이나 경로를 작성하지 않아도 thymeleaf 폴더 안에 있는 hello.html 파일을 찾아서 return 해준다.

 

4.2. 타임리프 파일

 

해당 파일과 동일하게 타임리프를 사용하려면 html 태그안에 링크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url을 호출하면 

 

반응형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CreateData어노테이션  (0) 2023.12.11
JPA 설정  (0) 2023.11.21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  (0) 2023.08.02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 사용 이유  (0) 2023.08.01
Application.yml에 작성한 데이터 사용하기  (0) 2023.08.01
profile

개발 공부는 어려워

@신입개발자하랑이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