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이그레이션은 이주라는 뜻이 존재한다.
하지만 개발자에게 마이그레이션은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옮기는것을 의미한다.
다른 업무를 예로 들겠다 한번 다룬적인 있는 ETL을 예로 들어보자. ETL은 결국 Source와 Target이 존재하는데
Source에 있는 데이터를 Target으로 마이그레이션한다고 말할 수 있다.
꼭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만 말하는게 아니라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마이그레이션이라는 단어는 쓰인다.
마이그레이션아리는 용어는 어느 개발 분야에서든 쓰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는것이 좋다.
반응형
'회사 > 업무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치 프로그램(Batch Processing) (0) | 2022.04.24 |
---|---|
암호화 복호화란? (0) | 2021.11.28 |
[CS] TO-BE, AS-IS (0) | 2021.10.31 |
[DataBase] ETL 기본 개념 이해하기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