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공부는 어려워
반응형
JavaScript#5_1 배열의 기초
카테고리 없음 2021. 9. 27. 00:22

자바 스크립트에서 배열(Array)은 이름과 인덱스로 참조되는 정렬된 값의 집합이다. 보통 각각의 값을 배열 요소(element)라고 하며, 위치는 인덱스(index)라고 한다. 코드에서 배열은 무척이나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 일반적으로 여러 값을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바 스크립트에서 배열의 특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배열 요소의 타입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같은 배열에 있는 배열 요소끼리의 타입이 서로 다를 수 있다. element의 index가 연속적이지 않아도 되며, element가 비어 있을 수 있다. 배열은 Array 객체로 다뤄진다. 제일먼저 자바 스크립트에서 배열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var arr = [요소1,요소2];// 배열 리터럴 이용 var ArrLit =..

[DataBase] ETL 기본 개념 이해하기
회사/업무 이해하기 2021. 9. 26. 19:54

ETL(Extract Transform Load) 일을 하다보면 한번을 들어보거나 데이터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한번을 들어볼 수 있는 단어다. 말 그대로 추출(Extract), 변환(Transform), 적재(Load)이며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 입맛에 맛게 변환한 후 DW(Data Warehouse)에 적재하는 것을 말한다. DW는 중요 개념이기 때문에 다른 게시물에 다뤄보고 단순히 ETL를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사실 ETL의 개념은 어려운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보통 DB에 저장하는 시간은 보통 sysdate같이 년월일 시분초(yyyyMMdd HH:mm:ss)로 저장하게 되거나 varchar로 저장하게되어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그 데이터들이 각각 한 컬럼에서 저장되있다고 ..

JavaScript#4 제어문
study/js 2021. 7. 16. 22:26

1.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 프로그램 내에서 주어진 표현식의 결과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실행문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실행문은 if문이다. * if문 * if / else 문 * if / else if / else 문 * switch 문 - if문은 주어진 표현식이 true일떄는 실행하며 false일떄는 아무 동작도 하지않는다. var x = 10, y=20; if(x == y){ console.log("x와 y는 같은 숫자이다."); } if(x y) console.log("x가 y보다 크다"); - else문은 위와 비슷하지..

article thumbnail
JavaScript#3 연산자
study/js 2021. 7. 12. 11:52

[연산자] 1. 산술연산자(arithmetic operator) - 산술 연산자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기본적인 연산자이다. - 두 개의 피 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언제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var x = 10, y=4; console.log(x+y); // 14 console.log(x-y); // 6 console.log(x*y); // 10 console.log(x/y); // 2.5 console.log(x%y); // 2 * 참고할것 2. 대입연산자(assignment operator) - 변수에 값을 대입할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이다. - 결합 방향은 산술연산자와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이다. var x=10, y=10, z=10; x = x - 5; /..

JavaScript#2 타입
study/js 2021. 7. 9. 13:22

1. 기본 타입 - Data Type이란 프로그램엑서 다를 수 있는 값으 종류를 의미한다. - 자바스크립트의 타입은 다른 언어와 다르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으로 구분된다. - 원시 타입은 # 숫자 (number) # 문자열 (String) # 블린 (boolean) # 심볼 (sysmbol) # undefined - 객체 타입은 # 객체 (Object) 자바스크립트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정수(Int) 실수(double,long)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모든 숫자를 하나로만 표현한다. var num1 = 10; var num2 = 10.0; 다른언어에서는 ""는 문자열 ''은 문자라고 표현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그러한 구별없이 표현된다. 하지만 문자열안에 따음표를 또 적으려..

JavaScript#1 소개
study/js 2021. 7. 8. 11:12

[JavaScript 시작] 1. javaScript의 특징 - 객체(Object)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 동적이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그 예시를 들면 String str = "안녕하세요 이건 다른 언어에서 선언해야 하는 문법이에요" var str2 = "JS에서 String 타입 명시를 하지 않은 변수입니다." - 객체 지향,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모두 표현 가능하다. 2. JavaScript 소개 - HTML의 "내용" 변경 가능 변경되는 p태그 값 입니다. // 변경할 태그의 id값 지정 - HTML의 "속성" 변경 가능 - HTML의 "스타일" 변경 가능 변경되는 p태그 값 입니다. // 변경할 태그의 id값 지정 3. 문법 - 실행문은 ;(세미콜론) 으로 구분된..

JavaScript에서 큐, 스택, 노드
개념 정리 2021. 7. 7. 18:06

** 어떤 데이터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생략한 채, 데이터의 추상적 형태와 그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만을 정해놓은 것을 가지고 ADT(Abstract Data Type)혹은 추상 자료형이라고 한다. ** [큐] 1. 데이터를 집어 넣을 수 있는 선형(linear) 자료형이다. 2. 먼저 넣은 데이터가 먼저 나온다 FIFO(First In First Out) : 선입선출 3. 데이터를 넣는 enqueue, 데이터를 추출하는 dequeue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code class Queue { construtor(){ this._arr = []; } enqueue(item){ this._arr.push(item); } dequeue(){ return this._arr.shift(); } } cons..

JavaScript_Prototype
study/js 2021. 7. 7. 14:01

[Prototype] 1. JavaScript의 특징 - 객체지향 언어 - OOP로 분류되지만 Class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 (Class 대신 사용) # class 비슷하게 만들어보기 function Person(){ this.name = "KJH"; this.age = 27; } var kim = new Person(); // Person 변수 가져오기 var park = new Person(); console.log(kim.name); // KJH console.log(kim.age); // 27 console.log(park.name); // KJH console.log(park.age); // 27 # 이렇게 만든 kim, park 객체는 name과 age를 공통적으..

JavaScript_동기와 비동기
study/js 2021. 7. 7. 10:31

[동기]{실행 순서가 확실한 것 (발생하는 하나의 이벤트가 모두 끝날 떄까지 다른 이벤트를 처리하지 못하고 이벤트가 모두 완료 된 후 다음 이벤트를 동작) } 1. Single Thread(단일 스레드), Synchronus(동기) 2. Memory Heap - 변수와 객체의 메모리 할당을 담당하는 곳 3. Call Stack - 함수가 호출이 되면 쌓이는 곳 - LIFO(Last In Frist Out) 구조 [비동기]{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담은 후 완료되는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는 실행 순서가 확실하지 않은 것} * 비동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function first(){ console.log(1); } function second(){ console.log(2); } first(); se..

JavaScript_반복문 (for in, for of, forEach)
study/js 2021. 7. 6. 14:32

[for] 1.일반적인 반복문 for(var i=1; i console.log(arr_result)); //forEach를 사용하여 arr_result라는 변수에 arr의 갯수만큼 저장하여 반복시키면서 arr_result 출력

반응형